신차 또는 중고차 자동차를 구매하실 때 취등록세를 얼마큼 내야 하는지, 차종별로는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을 때 얼마나 세금을 내야 할지 그리고 1년에 몇 번 세금을 내야 할지 등 여러 가지로 차를 구매하면 알고 있어야 할 자동차 세금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보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신차나 중고차나 구매를 하면 취등록세를 반드시 내야합니다. 아래는 신차 또는 중고차를 구매했을 때 얼마큼의 세금을 내야 하는지 안내하는 내용입니다.
신차와 중고차는 취등록세율을 다르게 적용받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를 알아보기 위해서 가장 간편한 방법인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는 자동차 365 포털사이트를 통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자동차 365 사이트에 들어갔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자동차 365 홈페이지에서 신차구입 메뉴 또는 중고차 매매 메뉴를 클릭하여 본인이 해당하는 차량의 취득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신차 또는 중고차 취등록세를 확인하기 위한 메뉴입니다.
자동차 365 상단의 신차구입 메뉴와 중고차 매매 메뉴를 클릭하면 신차와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를 위한 메뉴가 있습니다. 위의 메뉴를 클릭했을 때 각각 메뉴에 따라 아래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
신차 및 중고차 등록비용 계산기는 차량 구입을 하기 전 참고용으로 이용하셔야 합니다. 정확한 금액은 본인이 직접 자동차 등록사업소에 찾아가서 문의해야 합니다.
차종별 자동차 세금
자동차를 소유하게 되면 자동차의 차종별 세금의 과세기준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차종별 자동차 세금의 과세율이 어떻게 되는지는 자동차 365 홈페이지 메뉴에서 운행 메뉴를 클릭하고 다음 화면의 하위 메뉴 중 자동차 세금 메뉴에 들어가면 본인의 차량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세금 계산기 또한 참고만 해야 하는 예상금액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차종별 자동차 세금 계산기를 통해서는 본인이 자동차 세액 감면 대상자인지 확인할 수 없으니 따로 본인의 세액감면 대상여부를 확인하기 바랍니다.
자동차 세금은 1년에 몇 번 내야하나요?
자동차 세금은 1년에 총 2번 나누어서 납부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총 납부해야 하는 자동차 세의 금액이 연 10만 원 미만일 때는 세금을 나누어 낼 수 없습니다. 자동차 세금을 나누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연납 신청은 연중 1월과 3월에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신차 중고차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하는 방법과 차종별 자동차 세금 그리고 1년에 자동차 세금을 몇 번 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차량 소유자들은 위의 내용들을 잘 숙지하고 최신내용과 비교해본 후 세금납부가 원활히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장애 종류 특성 및 판정 등급 기준 (0) | 2023.01.10 |
---|---|
자동차 등록 원부 온라인 발급 기관 그리고 갑과 을의 차이점 (0) | 2023.01.09 |
자동차 등록 사업소 토요일 업무 시간 및 인터넷 자동차 이전 등록하는 방법 (0) | 2023.01.08 |
근로 복지 공단 근로자 생활 안정 자금 대출 종류 3가지 (0) | 2023.01.05 |
구직급여 실업급여 받다가 취업? 취업축하금 조기 재취업 수당 금액 계산 (0) | 2023.01.04 |
댓글